지금 읽고 있는 책 "오늘부터 1000만 원으로 부동산 투자 시작"의 265p에 나오는 것을 정리해 보았다. - 책 추천도 나중에 할 예정
부동산을 투자로 할 때 궁금한 것이 바로 부동산 가격 전망이다. 그거에 따라서 집을 살지 말지를 결정하게 될 테니까. (투자뿐만 아니라 자가를 살 때도 말이다)
사실 누구도 부동산의 가격을 확실하게 예측하지는 못한다. 너무 많은 요인과 사람들의 심리까지 포함되어 결정되니까.. (근데 인공지능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이걸 인공지능으로 예측을 할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이 갑자기 든다. 근데 무슨 정보들을 input으로 주어야 할까?)
하여튼 부동산 경기 예측을 도와주는 자료들은 존재를 한다.
1. 매매가격 전망지수 (KB부동산)
- 월간 시계역 자료를 제공함
- 그중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표본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만들어진 통계인데, 0~200 범위이고 100을 기준으로 100을 초과할수록 부동산 가격 "상승"비중이 높은 지역이고, 100보다 작을수록 부동산 "하락"비중이 높은 지역이다.
*KB부동산에는 많은 정보들이 존재한다. 로그인을 하면 볼 수 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알게 되었다.) - 조만간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전보를 보는 법을 올려볼 예정!
* kb 부동산 사이트: KB부동산 데이터허브 - 부동산 빅데이터 통계 분석 플랫폼 (kbland.kr)
*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 지수도 존재한다.
*KB 부동산 -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지수 사이트 : [KB부동산 데이터허브] (kbland.kr)
2. 매수우위지수(KB부동산)
- [매매가격 전망지수]와 비슷하게 [매수우위지수, 매수자/매도자 동향]는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크면 매수자가 많다는 뜻이고, 작으면 매도자가 많다는 뜻이다.
- 따라서 100을 기준으로 크면,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3. 미분양 통계 (국토교통부)
-신규규주택 미분양현황을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미분양이 많다는 것 → 수요 < 공금 → 결국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사이트 링크: 국토교통 통계누리 (molit.go.kr)
4. 청약 경쟁률(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청약 경쟁률이 높은 지역 →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 많음 → 그 지역에 관심 많음 → 오를 가능성 있음
* 한국부동산원 청약 홈페이지 : 청약홈 (applyhome.co.kr)
* 조금 더 쉽게 볼 수 있게 데이터를 모아놓은 '공공데이터포털' :데이터 상세 | 공공데이터포털 (data.go.kr)
5. 주택 거래량(국토교통부)
- 주택 거래량: 집을 사고자 하는 수요자의 관심을 파악할 수 있음
- 거래량이 늘어난다? → 부동산에 관심 있는 수요가 많다 → 집값 상승가능
- 집값이 상승하는 시기에는 거래량도 늘어나곤 함
- 집값 상승에 대한 피로감, 대출 규제와 금리인상에 대한 부담감→ 거래량 감소로 이어지기도
* 사이트: 국토교통부 데이터 통합 채널 (molit.go.kr)
(위에 사이튼데 주택 거래량을 쉽게 보는 페이지는 아직 못 찾았다:( 찾으면 다시 업데이트할 예정!)
'경제 > 부동산,경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용어3] 저당, 근저당 차이 (표로 정리!) (4) | 2023.05.13 |
---|---|
[부동산 용어 2] 등기부등본 (2) | 2023.05.10 |
[경매공부] 유튜브 추천 (0) | 2023.05.07 |
[부동산 용어1] 건폐율과 용적률 (0) | 2023.05.05 |
[경매] 낙찰 된 것 살펴보기 (0) |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