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56 [부동산 용어5] <경매> 사건번호와 물건번호 [부동산 용어] 경매를 할 때 마주하게 되는 번호들, 사건번호와 물건번호, 에 대해 알아보자. 더불어 사건과 물건이 무엇인지도 말아보자. 부동산 공부를 하며, 경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경매 사이트를 들락날락하다 보니 마주친 "사건번호"와 "물건번호". 사실 사건과 물건이 뭔지도 잘 몰라서 이번 기회에 알아보게 되었다. 1. 사건번호 경매물건의 이름으로 쓰는 번호 즉, 경매물건(경매에 나온 아파트, 주택, 자동차 등등의 물건)을 부를 때 쓰는 번호이다. 아래 두인경매에 올라온 경매물건을 예시로보면 빨간 박스 친 부분이 사건번호이다. 2. 물건번호 한 사람이 소유한 물건이 여러 건 동시에 경매로 진행될 때 각 물건별 번호-한 사건에서 2개 이상의 물건을 따로 입찰에 부친 경우 생김. (항상 있지 않음).. 2023. 5. 23. Wavelet Transform 개념 설명 유투브 추천 (feat. vs Fouier Tranfrom) Wavelet scattering transform을 아직 공부하고 있는데, 공부하다 보니 wavelet에 대해서도 잘 모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게 중요하다는데 그 중요한 걸 알아버렸다.!) 아무튼, 그래서 오늘 하루종일 wavelet에 대한 영상을 보았다. 원래 Fouier transform에 대해서는 대학교 때 질리도록 배워서 잘 알고 있어서 그런지 Fouier와 비교하면서 wavelet을 공부하니 더 이해가 잘 되었다. youtube에는 수많은 영상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좋은 영상을 가려내는 것도 일이다. 그래서 내가 오늘 공부하기 위해 봤던 영상 중에 좋았던 영상을 추천하고, 추후에는 개념을 직접 정리해 보겠다. **p.s. 참고로 나는 (1) wavelet trans.. 2023. 5. 22. [부동산] 오늘부터 1000만원으로 부동산 투자 시작 부동산 책 추천! 이 책은 학교 도서관 행사로 책을 빌리면, 스티커를 준다고 해서 빌리게 된 책이다.ㅋㅋ 갑자기 빌렸지만, 엄청 쉽게 잘 읽혔고, 내용도 꽤나 좋아서 추천한다.! 간단 책 소개 부동산과 경매에 관한 용어와 간단한 법, 그리고 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를 추천해주는 책이다. 아주 쉽게 읽히기 재미있다. 부동산 투자를 하기 전에, 또는 공부하면서 또 읽어보면 좋을 책. 책이 아주 쉽게 읽힌다. 얼마나 잘 읽히냐고? 읽는 것을 멈추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책이다. (내가 부동산에 관심이 많아서 일지도ㅎㅎ) 누가 읽으면 좋을까? 1.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게 된 사람 (=부린이) 2. 부동산 투자를 안해도 임차인으로 살려고 하는 사람도 읽어보며 좋을 아주 간단하고 중요한 이야기들이 많은 책이다... 2023. 5. 21.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3 * 참고: 코딩은 python기준으로 짰습니다. 저번글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2 (tistory.com))에서는 1. 두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와 2. DFS 코딩, 그리고 예시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BFS 코딩 그리고 예시문제를 살펴보자. 1. DFS와 BFS의 간단한 개념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1 (tistory.com) 2. 두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2 (tistory.com) 3. DFS 코딩, 그리고 예시 문제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2 (tistory.com) 4. .. 2023. 5. 19.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2 * 참고: 코딩은 python기준으로 짰습니다. 저번글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1 (tistory.com))에서는 DFS와 BFS의 간단한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번글에서는 아래 두 개를 살펴보자. 1. 두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2. DFS 코딩, 그리고 예시 문제 1. DFS와 BFS의 간단한 개념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1 (tistory.com)) 2. 두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이번 글] 3. DFS 코딩, 그리고 예시 문제 [이번 글] 4. BFS코딩, 그리고 예시 문제 두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어떤 알고리즘문제에 DFS를 쓰고, 어디에 BFS를 써야할까? DFS와 BFS: 성질과.. 2023. 5. 18.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1 * 참고로 https://blog.naver.com/kks227/220785731077 이 사이트에서 알고리즘을 많이 공부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있다. 사실 알고리즘을 정리하게 된 이유는 무려 이번주 금요일에 네이버 기술면접이 있기 때문이다. CS도 준비해야 할 것 같은데, 내 학부는 "근본 컴공"이 아니라서..ㅜ 중요한 것 몇 개만 공부할 예정이다. 포스텍 AI 대학원 시험 볼 때도 따로 공부했던 (시험에는 안 나왔었던 것 같다. 근데 면접에서 나온 것 같기도) DFS, BFS를 먼저 정리한다. 사실 최근 네이버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며 공부했는데 이 개념이 코테에서 꽤나 자주 나와서 알고리즘 중 가장 중요하면서 간단한 것은 이게 아닐까.. 싶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 DFS, BFS둘다 .. 2023. 5. 17. [부동산 용어4] 채권자 vs 채무자 [부동산 용어] 채권자와 채무자를 알아보려 한다. (요즘 부동산에 관심이 많아져서 책도 많이 읽고, 강의도 들으며 공부하는데 재밌다. 나중에 해외 부동산도 해보고 싶은데(미국 취직도 하려 하고, 잠시 살고 싶어서 ㅎvㅎ), 미국에서의 용어는 다르겠지만, 한쪽에서 공부해 두면 시스템 자체는 유사할 테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사실 생각해 보니까 부동산은 그냥 한국에서만 해도 괜찮을 것 같기도~.~) 사실 자주 듣는 단어지만 누가 채"권"자고 누가 채"무"자엿는지는 까먹을 수 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한번 확실히 머리 속에 입력해 보자! ps. 이런 용어들과 함께 간단하지만 필수 부동산 지식을 아주 쉽게 풀어서 써놓은 책 "오늘부터 1000만 원으로 부동산 투자 시작"도 추천한다! 내가 정리하는 용어들도.. 2023. 5. 15. [경제]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 경제 책 추천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 를 읽으며 노션에 정리해던 것들을 그대로 옮겨와 보았다. 책을 읽으며 많은 의문이 들었었고, 혹시나 이 책을 읽거나 내 글을 읽고 의견이 생긴다면 댓글로 소통해 보고 싶다. * 지은이: 홍춘옥 * 읽은 기간: 2022.10.16 -2023.01.11 * 다시 읽어 보고 싶은 책! 2023.01.09 5부 [금본위제가 무너진 이후의 세상] 금리가 오르면, 돈이 안 풀린다 → 투자가 줄어들고, 경제가 악화된다. → 미국 금리가 오르면, 미국달러로 거래하는 석유가격은 굳이 올릴 필요가 없어진다. → 하지만,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는 어차피 비싼 가격으로 거래될 것이다. (미국금릴가 오르면, 미국환율이 오를 테니) 금리가 내리면, 돈이 풀린다 → 소비가 권장된다.. 2023. 5. 14. [부동산 용어3] 저당, 근저당 차이 (표로 정리!) [부동산 용어] "저당"과 "근저당" 알아보려 한다. 사실 부동산에 관심을 가진 지 오래되지 않아서 그냥 같은 말을 줄여말한 건 줄 알았는데, 다른 것이라는 사실에! 놀라서 정리해 본다 ㅎㅎ + 더 쉬운 말로 쓸 수도 있지만, 애초에 부동산을 공부하다보면 자주 나오는 단어들이라 그냥 자주 쓰는 단어들로 설명을 하고 좀 어려운 단어라면 그 단어의 풀이를 같이 적는 방향으로 작성하려 한다. 사실 저당/근저당 각각의 설명보다 차이점을 읽어보는 것이 더 도움 될 것 같다! 그래서 위에 부분을 읽다가 이해가 안돼도 포기하지 말고 차이점까지 읽어본다면, 이해가 될 것이다! 1. 저당 집을 담보로 빌린 대출의 표시. 담보금액만 등기* (*등기: 일정한 사항을 널리 일반에게 공시(公示) 하기 위해서 공개된 공부(公簿).. 2023. 5. 13.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