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부동산,경매 🙋‍♀️🙋‍♂️

[부동산 용어 9] 임대인 vs 임차인

by kks2 2023. 8. 5.
728x90

사실 Computer Vision 공부한 것이나 코테 공부한 것을 주로 정리해보려 했는데, 어쩌다 보니 부동산 관련 글이 훨씬 많아지게 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부동산 용어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내 티스토리 글 중에서 "채권자 vs 채무자" 글이 best 조회수를 가지고 있고, 매일매일 유입도 많아서 ㅎㅎ 카톡에서 #검색으로 "채권자 채무자"를 검색하면 내 티스토리가 젤 먼저 뜬다. 뿌듯 :) 그래서 비슷한 글을 한번 적어본다. 그냥 다음에 채권자 채무자를 검색하니 채권자와 채무자가 뭐고 각각 누가 임대인 임차인이냐고 묻는 글이 내 티스토리 바로 아래 글이길래 조회수가 좀 나올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불순한 생각 + 임대인과 임차인에서 "대"와 "차"가 무슨 한자인지 알아보고자 글을 쓴다. 서론이 오늘은 좀 길었네요

 

1. 임대인

뜻: 돈(임대료)을 받고 타인(임차인)에게 부동산을 빌려주는 사람.

빌려줘야하니까 당연히 임대인은 특정자산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고, 이 특정자산(부동산)을 임대차 계약에 의해 빌려주게 된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 한자를 찾아봤다!

임: 품팔이 임

대: 빌려줄 대

인: 사람 인

따라서, 품삯(돈)을 받고 빌려주는 사람이다.

 

2. 임차인

뜻: 돈(임대료)를 내고 타인(임대인)에게 부동산을 빌리는 사람. 

임차인 역시 임대차 계약을 통해 임대인에게 돈을 내고 부동산을 빌린다. 

 

한자를 알아보자

임: 품팔이 임

차: 빌릴 차

인: 사람 인

따라서, 품삯을 내고 빌리는 사람이다. 

 

 

728x90